6.25; History Beneath The Skin 우리 안에 흐르는 역사
Description 설명
공연 예술 작품 창작, 출연: 조 그레이스, 김호수, 이현정; 무대감독: 캐롤린 맥닐리
"6.25: 우리 안에 흐르는 역사"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해 한국전쟁의 유산과 분단 및 침묵을 다룬 공연 예술 작품이다. 활동가이자 이론가이며 연기자인 세 명의 재미동포 여성이 창작해 공연하는 이 작품은 "어제 안에 오늘" 전시회의 일부로 공연된 후 비디오로 전시된다.
이 작품은 조 그레이스와 김호수, 이현정이 기획하고 창작하여 공연한다. 세 연희자는 이 공연에서 음성과 청각 매체, 몸짓, 설치, 슬라이드, 비디오 투사 등 다각적 매체를 이용해 각자가 전쟁의 유산으로 물려받은 침묵깨기를 시도 한다.
조 그레이스에게는 시계가 똑딱거리는 소리와 반복적으로 들려오는 어머니의 목소리가 그레이스로 하여금 제2차 세계대전 직후에서 한국전쟁에 걸친 어머니의 경험을 어머니의 침묵 너머로 재구성하게 하는 계기가 된다. 이 부분에서는 연자기 자신의 목소리와 비디오 투사, 연기, 그리고 음향효과가 결합되며, 군사점령과 성노예제도 (정신대), 그리고 군사매춘의 파급효과가 다뤄진다.
이현정은 강대국에 의한 한반도의 자의적 분단이 발단이 되어 파생된 역사적 사건들을 추적하는 동시에 그런 역사적 흐름이 인종주의와 식민주의에 대항한 이민자들의 투쟁으로 이어지는 모습을 다룬다. 이민 2세의 관점을 채택하고 있는 이 작품은 한국전쟁이 이민 1세대와 2세대 이후 미국태생 후손들의 공동체에 모두 지속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실례를 통해 보여준다.
김호수는 1970 - 80년대의 남한에서 매달 15일 오후 두시 실시된 민방위훈련을 통해 강요된 긴장상태를 중심으로, 남한 사람들을 상대로 한 반공주의 선전의 영향을 추적한다. 이 부분은 또한 한국전쟁 고아들의 국제 입양도 미군들이 전쟁 고아들에게 나눠주었던 초콜렛과 같은 문화적 상징물들을 통해 살펴본다. 개인적 증언과 음향효과 - 민방위훈련 공습경보나 그 시대를 대표하는 다른 음향들- 그리고 투사된 시각적 이미지를 결합함으로써 이 작품은 남한의 전후세대, 즉 전쟁을 직접 체험하지는 않았지만 전쟁의 사회, 정치, 심리적 유산과 더불어 살고있는 첫 세대의 경험을 대변한다.
이 공연은 한국전쟁구술사기획에 채록된 증언의 일부를 녹음된 육성과 문자 텍스트, 그리고 낭독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그 동안침묵과 망각을 강요당했던 과거 전쟁의 기억을 전면에 내세우고, 그 기억과 오늘날의 경험과 사건 사이의 직접적인 대화를 시도한다.
"6.25; history beneath the skin" is a multi-media performance about the divisions, silences and legacies of the Korean War. Written and performed by three Korean American women activists, theorists, and artists, the performance takes place in conjunction with, and as an installation within, the Korean American oral history/art exhibit, "Still Present Pasts." The performers are Grace M. Cho, Hosu Kim, and Hyun Lee. Combining voice, audio, body movement, installation and slide and video projection, each performer breaks the silence about her own War legacy during the course of the performance.
For Grace Cho, the sound of a clock ticking and her mother's recurring voice become clues from which Grace, herself, fills her mother's silences with an imagined history of the period immediately following WWII and through the Korean War. With a combination of spoken voice, video projection, physical movement and sound design, this piece addresses the impact of military occupation, sexual slavery and military prostitution.
In Hyun Lee's performance, the arbitrary division of Korea at the 38th parallel becomes a trigger for tracing successive historical events that motivate immigrants' struggles against racism and colonialism. Spoken from the standpoint of the second generation, this piece embodies the way in which the War has left a lasting legacy on both immigrant and American-born communities.
For Hosu Kim, the fabricated tension of the mock war drills that took place in South Korea in the 1970s and 80s at 2:00 PM on the 15th of each month are events from which she traces the impact of anti-communist propaganda on South Koreans. Likewise, the international adoption of Korean War orphans is traced through dominant cultural objects, such as chocolate bars, which were passed out to war orphans by American soldiers. Through personal testimony, combined with sound design (e.g., mock war sirens and other period sound) and projected visual images, this piece speaks to the experiences of the post-war generation in South Korea, the first generation who did not directly experience war but who live with its social, political, and psychological legacies.
Each performance integrates excerpts from oral histories from over a dozen Korean War survivors and their children. These excerpts cover a range of war memories, from bombings, deaths and evacuations, to survival and eventual emigration to the U.S. Presented as recorded audio, text, and live readings, the excerpts reveal the silenced past and memories of a war we have been told to forget, and sets these memories in direct dialogue with present-day experiences and events.
A performance art piece by Grace M. Cho, Hosu Kim, and Hyun Lee. Stage Director: Carolina McNeely.
Comments
Have a comment? Email liem@bc.edu